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4

지질환경의 위험성 평가 지질환경 위험성 평가 방법 지질환경 물질에 의한 위험성 평가는 자연적 요인이나 인위적인 활동에 의해 배출된 독성물질의 인간건강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평가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1. 위험요소 규명 : 이 단계에서는 인간 건강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특정한 원소나 물질에 노출되었는지를 규명합니다. 인간 집단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특정 원소와 조직세포의 반응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기도 합니다. 2. 투여 반응 평가 : 이 단계의 목적은 특정 독성 원소의 투여와 건강상의 반응효과를 규명함에 있습니다. 낮은 농도에서의 효과는 보다 높은 농도의 반응에 대한 추론으로 이루어지므로 종종 반대의 과정으로 평가되기도 하며 문턱값의 효과가 있는지도 조사합니다. 또한 관찰과 실험에.. 2022. 4. 13.
지질오염이 인간에게 미치는 상관관계의 예 짐바브웨의 예시 짐바브웨 북동부 지역에서 하상 퇴적물, 토양 및 사료에서 Zn의 함량이 서로 주요한 상관성을 나타내며 광역적으로 분포상황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매체의 Zn 수준과 소의 혈청 내 함량과는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생리학적 요인 즉, 토양과 사료 내의 높은 Fe와 Mn의 함량 이 Cu, Zn 등의 미량 원소의 흡수를 방해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결과적으로 지질학적으로 Zn 함량이 높은 지역에서도 소의 혈청 내 Zn 함량이 낮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 줍니다. 마찬가지 결과로써 동·식물의 P에 대한 섭취 정도도 토양 내 높은 철산화물의 함량에 의해 제한받을 수 있습니다. 하상 퇴적물을 이용한 지 구화학적 자료들은 Zn 또는 Cu가 결핍된 지역과 높은 함량.. 2022. 4. 12.
지질 환경과 질병 발생의 지리적 상관성 지질 환경과 질병 발생의 몇 가지 예 엄밀한 상관성을 밝히기는 어려우나 대체적으로 지질학적인 환경과 질병발생간에 그 지리적 분포가 일치하여 나타나는 몇 가지 예가 있습니다. 그중 하나로서 주변 지질에 기초로 한 식수의 경도(hardness) 변화와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률 변화의 지리학적 패턴이 전체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바 있습니다. 미국 중부지역의 석회석 대수층에서 유래한 경도가 높은 지하수 지역에서 관상동맥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일반적으로 낮은 것입니다. 대서양 해변 지역의 지하수는 상대적으로 연수의 성격을 보이며 심장질환 사망률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에 대한 명확한 해답은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경수에 알려지지 않은 심장질환에 대한 대처 효과가 있거나, 산성인 연수가 식수 공.. 2022. 4. 11.
지질 오염의 다양한 케이스 지질 오염으로 인한 이타이이타이 질병 Cd의 의학적 중요성은 일본에서 발생한 이타이이타이 질병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질병은 일본 토야마 지방에서 통증과 복합골절, 신장내 단백질 결핍, Ca 손실 등을 일으키며 부검결과 피부 조직의 높은 Cd 함량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Cd는 그 지방의 Pb-Zn 광산활동에 의해 오염된 토양에서 재배한 쌀과 콩의 섭취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납(Pb)의 인간에 대한 독성은 비교적 널리 인식되어 있습니다. 지질전염병 학자들은 현재 정상치로 정의된 양도 실제로는 독성을 줄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Pb는 상대적으로 지표환경에서 흔하며 모든 문명화된 국가는 정도에 차이는 있지만 Pb에 의해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도시화, 산업화에 의해 Pb에 대한 인간의 .. 2022.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