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4

온천수의 생성 제주도의 해수의 CI 함량은 19,000ppm이며 강수는 8.3ppm입니다. 염수침입 피해지역은 제주도의 동부지역으로 해안에서 1km까지 염도 1,000ppm을 초과하여 농업용수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도시화로 따른 과잉 양수에 기인한 제주시 및 서귀포 지역, 서부지역에서 염수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지하수의 과잉 양수로 인하여 제주도 지하수계의 파괴 위험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주도의 지하수 수문학적 평형이 유지되는 범위내에서 개발과 이용이 균 형을 이루도록 지하수의 보호관리가 요청됩니다. 온천수란 온천수는 치료, Rehabilitation, 비닐하우스 채소 및 화초재배, 양식 등 다양하게 이용됩니다. 온천수보다 고온인 지역에서는 높은 수증기압을 이용, 지열 발전을 하고 있습.. 2022. 2. 24.
지하수의 관리방법 지하수의 보존 지하수를 과잉 양수하면 지하수면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지하수계의 수문학적 시스템이 파괴되어 지하수의 고갈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지반의 침하로 인하여 구조물의 피해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미국 북부 일리노이주 시카고시 부근에서도 강수에 의한 대수층에 물의 유입량보다 지하수의 감소속도가 빨라서 지하수면이 30m이상 하강하였습니다. 휴스턴 갤베 스톤만 지역은 지반침하로 해수면이 수m 상승하였습니다. 그리고 이탈리아 베니스 시에서도 해안지역에 지반침하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특히 귀중한 역사적 유물이 상대적인 해수면 상승으로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수층으로 물이 집수되는 지역을 건축 등으로 인위적으로 막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경기도 포천 지역에서 지하수면이.. 2022. 2. 23.
지하수의 생성 원인 지하수의 발생 지하수는 지하수면 밑에서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하의 지층의 구조나 불투성층의 분포 위치에 따라 지역적으로 지하수가 불투성층 위에 보존되어 지역적인 지하수면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때는 이 지역의 광역적인 지하수면보다 훨씬 얕은 위치에서도 지하수가 산출될 수 있습니다. 이를 주수천이라 합니다. 그리고 지형과 대수층의 분포 특성에 따라 지하수층에 작용하는 압력 때문에 지하수가 높은 압력으로 분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찬정이라 합니다. 지하수의 양은 그 지역의 강수량, 대수층의 암석의 특성, 지질구조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지하수의 양은 물의 순환에서처럼 물질 평형이 이루어지는 경향으로 항상 조절이 되며 지하수량은 대수층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우물에서 지하수량을 양.. 2022. 2. 22.
수자원과 환경의 관계 물의 순환 다른 천체와 달리 지구는 유일하게 액상의 물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는 지구 상의 생물의 탄생과 생존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구 초기의 뜨거운 마그마 오션에서 점차 냉각되어 거대한 양의 해수가 만들어지고 태양 에너지에 의해 증발된 해수는 강수로서 하천수, 호소수, 지하수를 만들었습니다. 극지방에서는 빙하 등의 고체상의 물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La Riviere에 의하면 해수에서 증발하는 물의 양은 425 × 10km/년이며 강수의 형태로 다시 바다에 385 × 10km/년 환원되고 나머지 40 × 10km/년의 물은 수증기단으로 육지에 이동함으로써 지구시스템에서 물수지 평형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지질학적으로 물은 성인에 따라 해수, 순환수, 화석수, 마그마수, 초생수, 퇴적수 등의 .. 2022. 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