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4 지하수의 생성 원인 지하수의 발생 지하수는 지하수면 밑에서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하의 지층의 구조나 불투성층의 분포 위치에 따라 지역적으로 지하수가 불투성층 위에 보존되어 지역적인 지하수면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때는 이 지역의 광역적인 지하수면보다 훨씬 얕은 위치에서도 지하수가 산출될 수 있습니다. 이를 주수천이라 합니다. 그리고 지형과 대수층의 분포 특성에 따라 지하수층에 작용하는 압력 때문에 지하수가 높은 압력으로 분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찬정이라 합니다. 지하수의 양은 그 지역의 강수량, 대수층의 암석의 특성, 지질구조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지하수의 양은 물의 순환에서처럼 물질 평형이 이루어지는 경향으로 항상 조절이 되며 지하수량은 대수층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우물에서 지하수량을 양.. 2022. 2. 22. 수자원과 환경의 관계 물의 순환 다른 천체와 달리 지구는 유일하게 액상의 물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는 지구 상의 생물의 탄생과 생존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구 초기의 뜨거운 마그마 오션에서 점차 냉각되어 거대한 양의 해수가 만들어지고 태양 에너지에 의해 증발된 해수는 강수로서 하천수, 호소수, 지하수를 만들었습니다. 극지방에서는 빙하 등의 고체상의 물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La Riviere에 의하면 해수에서 증발하는 물의 양은 425 × 10km/년이며 강수의 형태로 다시 바다에 385 × 10km/년 환원되고 나머지 40 × 10km/년의 물은 수증기단으로 육지에 이동함으로써 지구시스템에서 물수지 평형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지질학적으로 물은 성인에 따라 해수, 순환수, 화석수, 마그마수, 초생수, 퇴적수 등의 .. 2022. 2. 20. 토지의 구성물질 지역에 따라 토지 구성물질인 토양이나 암석의 종류, 물리화학적 성질이 한 곳도 동일한 곳이 없다는 점은 지질학자들이 강조해야 할 일 중의 하나입니다. 토양조사는 다양한 목적에 따라 적용하는 방법을 달리해야 합니다. 토양조사의 목적이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위한 것인지, 부지선정을 위한 것인지, 대규모 구조물설치 혹은 토목건설을 위한 것인지,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것인지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토지 이용 평가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위한 토지평가를 위한 조사시 일반적으로 지질학자들의 수집 가능한 정보들은 ① 대상지역의 지표 혹은 지하 구성 물질 (토양이나 암석)들의 물리화학적 성질, ② 대상지역의 사면 안정성, ③ 활 단층의 존재 유무와 대상지역의 절리계, ④ 지하수면의 심도와 지하수의 이동 특성, ⑤ 기반암의.. 2022. 2. 19. 영구동토와 환경문제 2차대전 후의 식량생산이 농업기술의 발달에 입어 증가된 것은 사실이지만 이러한 새로운 기술은 토양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발생되는 토양손상은 장기적으로는 토양의 손실을 의미하므로 토양손상에 대한 관심은 토지 소유자만의 일이 아니라 사회 및 국가의 세심한 대책이 요망됩니다. 영구동토 지대에서의 토양과 환경 영구동토란 0℃ 이하의 온도에서 얼어 있는 퇴적물, 토양 또는 기반암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영구동토는 전체 지구 표면의 약 20% 를 차지합니다. 영구동토의 깊이는 위도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시베리 아에서 발달된 영구동토의 최대 깊이는 1,400~1,500m이며 캐나다 쪽의 북극 지역은 1,000m 정도이고 알래스카에서는 600m에 이릅니다. 영구동토대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은 주.. 2022. 2. 18.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