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4

수질오염과 환경 지하수와 하천수의 수질 지구상의 물은 97.54%가 염수, 빙하가 1.81%로 이들이 지구 전체의 99.3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담수인 지하수는 겨우 0.63%입니다. 지하수의 원천이 되는 강수도 최근 산업화에 따른 대기오염으로 다양한 화학성분을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비교적 순수한 강수가 지표에 도달하면 토양, 암석, 유기물과 반응하여 지하수의 화학성분을 변화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그 지역의 토양, 지질에 따라 수질의 특성이 달라집니다. 수질의 특성 수질은 물리적 특성,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의하여 평가될 수 있습니다. 물리적 특성에 의한 수질 평가기준은 탁도, 총용존물질, 색, 냄새, 온도 등입니다. 물의 용도에 따라 총용존물질의 기준치가 다릅니다. 예를 들면 음용수의 총용존물질은 500 ~.. 2022. 2. 26.
하천수의 종류 및 기원 우리나라의 주요 하천들 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등 우리 나라의 주요 하천은 농업용수, 생활용수, 상수도원으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경제개발과 산업화로 인하여 이들 하천수는 공장폐수, 농약, 생활하수 등에 의해 급속히 오염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편으로는 지하수의 개발과 이용이 급증하고 있으나 하천수의 자연정화 기능 유지는 인간을 포함한 지표 생물권에 필수적입니다. 일반적으로 인위적인 오염을 제외하면 하천수의 화학성분은 강수의 성분과 주변지역의 지질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하천수의 성분 일반적으로 하천수의 화학성분의 기원은 강수, 대기 중의 에어로졸 등 분진이 강수에 용해, 하천 수계 주위의 암석과 토양에서 유출된 원소에 따라 결정됩니다. 그리고 인간활동에 의한 생활하수, 농업.. 2022. 2. 25.
온천수의 생성 제주도의 해수의 CI 함량은 19,000ppm이며 강수는 8.3ppm입니다. 염수침입 피해지역은 제주도의 동부지역으로 해안에서 1km까지 염도 1,000ppm을 초과하여 농업용수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도시화로 따른 과잉 양수에 기인한 제주시 및 서귀포 지역, 서부지역에서 염수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지하수의 과잉 양수로 인하여 제주도 지하수계의 파괴 위험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주도의 지하수 수문학적 평형이 유지되는 범위내에서 개발과 이용이 균 형을 이루도록 지하수의 보호관리가 요청됩니다. 온천수란 온천수는 치료, Rehabilitation, 비닐하우스 채소 및 화초재배, 양식 등 다양하게 이용됩니다. 온천수보다 고온인 지역에서는 높은 수증기압을 이용, 지열 발전을 하고 있습.. 2022. 2. 24.
지하수의 관리방법 지하수의 보존 지하수를 과잉 양수하면 지하수면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지하수계의 수문학적 시스템이 파괴되어 지하수의 고갈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지반의 침하로 인하여 구조물의 피해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미국 북부 일리노이주 시카고시 부근에서도 강수에 의한 대수층에 물의 유입량보다 지하수의 감소속도가 빨라서 지하수면이 30m이상 하강하였습니다. 휴스턴 갤베 스톤만 지역은 지반침하로 해수면이 수m 상승하였습니다. 그리고 이탈리아 베니스 시에서도 해안지역에 지반침하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특히 귀중한 역사적 유물이 상대적인 해수면 상승으로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수층으로 물이 집수되는 지역을 건축 등으로 인위적으로 막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경기도 포천 지역에서 지하수면이.. 2022.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