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4

지하수 수질 오염 연구 지하수계에 대한 연구 Rozanski et al, (1993)에 의해 IAEA의 전 세계 관측점에서 얻어진 강 수는 SD = 8.13880 + 10.8의 직선을 이루고 있습니다. 온천수와 지하수(순환수) 사이에는 물 암석 반응에 의해 산소편이 현상(oxygen shift) 이 나타났습니다. 상이한 동위원소를 가진 폐기물 기원의 물과의 혼합이나 폐기물과의 장기간에 걸쳐 일어나는 상호 동위원소 교환 반응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의 증발에 의해 순환수선에서 분리된 도시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지하수 연구의 기초자료 중의 하나는 지하수 및 지표수의 동위원소 성분분 포입니다. 남한의 순환수(meteoric water)의 동위원소 조성은 880 = -5.2~~ 10.3%, D = -39.5~72.7% 범위입니.. 2022. 4. 15.
동위원소와 물의 동위원소 경원소 안정동위원소 안정동위원소 환경변화와 오염 연구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경원소 안정동위원소는 C(탄소), H(수소), O(산소), N(질소), S(황) 등입니다. 자연계의 대부분의 물질은 이들 원소로 구성되어 있거나 이들 원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연계의 물질 내의 이들 원소의 동위원소비는 물질의 기원, 생성 환경 등에 따라 각기 다른 값을 가집니다. 따라서 이들 동위원소비를 분석하여 트레이서로서 물질의 기원과 순환을 연구하고, 동위원소 분별을 이용하여 물질의 생성 조건 해석 등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환경동위원소는 지열, 화석연료, 광물자원 등의 탐사와 성인 연구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수문학, 토양학, 생태학 및 의학적인 연구에도 응용되고 있습니다. 동위원소 질량분석 방법 동.. 2022. 4. 14.
지질환경의 위험성 평가 지질환경 위험성 평가 방법 지질환경 물질에 의한 위험성 평가는 자연적 요인이나 인위적인 활동에 의해 배출된 독성물질의 인간건강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평가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1. 위험요소 규명 : 이 단계에서는 인간 건강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특정한 원소나 물질에 노출되었는지를 규명합니다. 인간 집단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특정 원소와 조직세포의 반응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기도 합니다. 2. 투여 반응 평가 : 이 단계의 목적은 특정 독성 원소의 투여와 건강상의 반응효과를 규명함에 있습니다. 낮은 농도에서의 효과는 보다 높은 농도의 반응에 대한 추론으로 이루어지므로 종종 반대의 과정으로 평가되기도 하며 문턱값의 효과가 있는지도 조사합니다. 또한 관찰과 실험에.. 2022. 4. 13.
지질오염이 인간에게 미치는 상관관계의 예 짐바브웨의 예시 짐바브웨 북동부 지역에서 하상 퇴적물, 토양 및 사료에서 Zn의 함량이 서로 주요한 상관성을 나타내며 광역적으로 분포상황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매체의 Zn 수준과 소의 혈청 내 함량과는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생리학적 요인 즉, 토양과 사료 내의 높은 Fe와 Mn의 함량 이 Cu, Zn 등의 미량 원소의 흡수를 방해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결과적으로 지질학적으로 Zn 함량이 높은 지역에서도 소의 혈청 내 Zn 함량이 낮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 줍니다. 마찬가지 결과로써 동·식물의 P에 대한 섭취 정도도 토양 내 높은 철산화물의 함량에 의해 제한받을 수 있습니다. 하상 퇴적물을 이용한 지 구화학적 자료들은 Zn 또는 Cu가 결핍된 지역과 높은 함량.. 2022.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