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4 토지의 변화가 미치는 환경적 영향 염전이 끼치는 피해 어업에 종사하던 인근 주민의 대부분이 생계를 잃었어요.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감소한 아랄해의 바닥은 염전으로 변했고, 이들 호수 바닥에 퇴적된 소금의 상당수는 매년 바람에 의해 인근 경작지로 운반되어 농작물 수확량에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이 건조지역의 관개로 유지되는 경작지 중에서 토양에 소금을 퇴적해 관개수가 증발하고 몇몇 지역이 황폐해지기 시작했어요. 옛 소련 정부는 이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환경 회복에 필요한 계획을 세웠으며 그 비용은 천문학적이었습니다. 그러나 환경을 회복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는 신러시아 정부에 의해 아직 취해지지 않았습니다. 이 예에서 볼 수 있듯이 관개를 통한 수류 시스템의 변화는 지표의 지질환경을 변화시켰고 지하수위 변화와 호수의 쇠퇴 등.. 2022. 5. 3. 삼림훼손과 과개발의 영향 열대지방의 삼림훼손의 결과 열대지방의 삼림훼손과 과개발의 결과가 가장 빠릅니다. 일반적으로 고온 다습한 열대 지역은 다른 어떤 기후보다 연간 강수량이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적도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풍화 깊이가 깊고 일부 지역은 수백 미터가 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이러한 강수량 중 대부분과 비교적 높은 온도는 풍화율을 높입니다. 또한 풍부한 유기산의 존재는 탈리를 촉진하고 표면의 불용성 산화물 대부분을 풍화 잔사로 남깁니다. 그래서 철이나 알루미늄이 풍부한 토양을 라라이트라고 합니다. 이 지질학적 작용은 격자라고 불립니다. 염기성 암석과 장석 등 광물이 풍화되면 철과 알루미늄이 수산화물로 분해됩니다. 이들 수산화물은 이 지역의 지구화학적 조건이 산화환경일 경우 일반적으로 다른 성분에 비해 안.. 2022. 5. 2. 식량 생산량 증가에 비료와 농약 사용 증가 단위 면적당 식량 생산량 증가 최근 한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비료와 농약 사용이 증가하면서 단위 면적당 식량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재배의 보조 장치는 태양 에너지와 같이 다른 형태의 에너지이기도 합니다 작물 수확과 입력 에너지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 결과 과거 수확량을 두 배로 만드는데 에너지 투입이 10배나 걸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비료를 추가한다고 해서 반드시 수확량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비료효과로 인한 주요곡물(쌀, 밀, 옥수수 등)의 증산이 한계에 이르렀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후진국의 식량 생산량도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이러한 증가율은 인구 증가를 따라잡기에는 충분치 않습니다 또한 간과하고 있는 중요한 사실은 작물을 추가 생산.. 2022. 4. 29. 토지이용으로 인한 지질환경의 변화 인간이 지질환경에 미치는 영향 농경지 확장에 따른 평야의 개발, 건물이나 구조물의 건설, 도로나 다리의 건설, 삼림의 훼손, 수계의 변화, 산업활동 등의 지질환경이나 생태계의 변화입니다. 이런 인간의 활동은 크고 작음을 막론하고 직간접적으로 지질학적 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변화된 지질환경은 이와 연결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사람들은 이런 활동들이 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오해하고 있다 라는 거죠. 하지만 실제로 생태계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인간이 인식하기 어려운 지질환경이 천천히 변화한 결과물이 대부분이라는 점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앞서 말씀드렸듯이 인간의 활동이 지질환경이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몇 가지 주제로 이야기한 점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토지이용 .. 2022. 4. 28. 이전 1 ··· 4 5 6 7 8 9 10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