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4

환경영향평가시스템의 개요 및 내용 작성 환경영향평가법의 법정제도 환경영향평가법은 환경영향평가를 환경영향평가 사업계획 수립에 있어서 사업시행 시 환경영향을 예측하고 평가하여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1) 일반규정, (2) 평가대상사업, (3) 환경영향평가 작성, (4) 환경영향평가 협의, 협의 관리, 추가 벌칙 등 총 7개 장, 37개 조문 및 보충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시스템의 개요 대상 프로젝트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대상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① 사전에 선택하지 않고 화면상에서 대상 사업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채택되고 있습니다. ② 사전에 목표를 정해 운영하는 방식으로 독일, 일본, 동남아시아 등에서 채용되고 있습니다. ③ 사전.. 2022. 5. 13.
다양한 나라들의 환경영향평가제도의 예시 영국의 환경영향평가제도 영국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유럽연합의 전신인 EEC가 1985년에 발표된 후 3년 후인 1988년 7월에 유럽연합의 가맹국인 영국도 도시계획법을 제정·운영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환경영향평가 프레임워크는 EU의 환경영향평가 시스템과 거의 동일합니다. 농업(어업을 포함한다), 추출(굴착, 물 탐사, 화력발전소 등), 금속 제조(태양광, 제련, 금속가공), 유리제조, 화학(화학, 농약, 석유화학), 식품(농·설탕 제조), 섬유, 가죽, 고무 제조, 국가의 폐기물(공기) 건설 등입니다. 동유럽의 환경영향평가제도 1990년대에 동유럽과 동유럽 대부분의 국가에서 환경법이 제정되었으며 서브법에서는 지역주민과 전문가가 평가하고 원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동의를 얻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2022. 5. 12.
다양한 사례의 환경영향평가제도 한국의 환경영향평가제도 한국의 환경영향평가에 관한 법률에서는 1977년에 환경보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부의 사업계획에 대해 보건사회부 장관과의 사전협의가 필요하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1990년 8월 1일 제정된 「환경정책 기본법」에 따라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는 주민의견을 수렴하여야 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관계 행정기관의 장이 시정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1993년 6월에 환경영향평가법이 제정되어 같은 해 12월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환경영향평가제도 미국은 1969년에 세계 최초의 환경영향평가법을 제정하고 환경영향평가보고서 작성을 의무화했습니다(Miller Jr., 1990). 연방정부 차원의 환경영향평가제도뿐만 아니라 주와 자치구도.. 2022. 5. 11.
환경영향평가와 지질학 개인, 기업, 정부가 해나가야 하는 역할 보호지역이 종이로만 존재하는 이런 보호지역이 되지 않도록 모든 시민이 생태계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합니다. 자연을 지키려는 이들 국가의 자랑스러운 노력과 달리 아이러니하게도 세계의 건강한 생태계는 문화가 발달하지 않은 지역 원주민의 지배하에 있는 지역입니다. 이 사실은 자연보호 성공 여부는 법에서 정한 벌금이나 펜스,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아니라 지역주민 지원에 달려 있음을 보여줍니다. 여기에서는 보전과 개발 사이를 통제하려는 정부의 의지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방자치가 환경악화의 원인이 될 수도 있고, 이를 막기 위해서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기업, 개인을 위한 단기적인 이해관계를 없애고 적절한 윤리를 확립하는 일이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와 지질학의 역할 환경영.. 2022.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