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4 식량 생산량 증가에 비료와 농약 사용 증가 단위 면적당 식량 생산량 증가 최근 한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비료와 농약 사용이 증가하면서 단위 면적당 식량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재배의 보조 장치는 태양 에너지와 같이 다른 형태의 에너지이기도 합니다 작물 수확과 입력 에너지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 결과 과거 수확량을 두 배로 만드는데 에너지 투입이 10배나 걸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비료를 추가한다고 해서 반드시 수확량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비료효과로 인한 주요곡물(쌀, 밀, 옥수수 등)의 증산이 한계에 이르렀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후진국의 식량 생산량도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이러한 증가율은 인구 증가를 따라잡기에는 충분치 않습니다 또한 간과하고 있는 중요한 사실은 작물을 추가 생산.. 2022. 4. 29. 토지이용으로 인한 지질환경의 변화 인간이 지질환경에 미치는 영향 농경지 확장에 따른 평야의 개발, 건물이나 구조물의 건설, 도로나 다리의 건설, 삼림의 훼손, 수계의 변화, 산업활동 등의 지질환경이나 생태계의 변화입니다. 이런 인간의 활동은 크고 작음을 막론하고 직간접적으로 지질학적 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변화된 지질환경은 이와 연결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사람들은 이런 활동들이 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오해하고 있다 라는 거죠. 하지만 실제로 생태계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인간이 인식하기 어려운 지질환경이 천천히 변화한 결과물이 대부분이라는 점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앞서 말씀드렸듯이 인간의 활동이 지질환경이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몇 가지 주제로 이야기한 점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토지이용 .. 2022. 4. 28. 지구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과 증명 지구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 지구 역사에 기록된 이들 종의 변화는 실제로 지구 생태계의 지속에 의문을 제기하기에 충분합니다. 하지만 많은 생태학자들은 이 지질학적인 격변 속에서 종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생명은 유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화되고 있으며 그 자체로 보다 유리한 조건을 회복하는 것은 세계적인 인내심의 발로라고 볼 수 있다라는 거죠. 하지만 특정 종의 멸종은 지구 역사상 항상 가능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지구상의 저항이 있더라도 인류는 지구 역사에 기록된 멸종처럼 인간이 만든 재난(핵전쟁, 독성물질의 확산 등)과 같은 몇 가지 요인에 선택적으로 불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최근 Serain(1988)은 지구가 어떻게 규제되고 있는지에 대한 두 가지 극단적인 견해를 분석했습니다. 하나는 정.. 2022. 4. 27. 생태계의 피라미드와 지속성 엘튼의 생태 피라미드 영양 단계 중 1단계인 하부는 생물학적 부분의 생산자, 2단계는 식물을 소비하는 소비자, 3단계는 동물을 소비하는 소비자입니다. 이것은 '엘튼의 생태 피라미드'라고 불립니다. 자연질서 파괴, 먹이사슬 불균형 파괴는 인간에게 막대한 손해를 끼칩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송충이가 크게 번식하여 산림에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이 또한 살충제의 과다사용으로 송충이의 천적이 제거되면서 생긴 현상입니다. 생태계의 지속성 유지 생태계의 일관성에서는 항상성 메커니즘이 어떻게 작용하며 포유류(인간 포함)가 외부환경에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동원되는 생태계의 지속성을 유지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자연생태계에서는 이들 규제 메커니즘은 보다 높은 수준에서 더 넓은 범위에서 동작합니다. 예를 들면.. 2022. 4. 24. 이전 1 2 3 4 5 6 7 8 ··· 19 다음